top of page

화학물질 교육

  • 작성자 사진: 태흥
    태흥
  • 2019년 12월 17일
  • 1분 분량

최종 수정일: 2020년 3월 17일

화학물질 교육은 크게 7가지로 되어 있습니다.

1.종사자 교육(2시간/년)

2.취급자 교육과정(8시간,16시간/2년)

3.유해화학물질관리자 자격취득 과정(32시간)

4.기술인력 전문교육과정(56시간/32시간)

5.장외영향평가작성자교육(16시간)

6.위해관리계획서 작성자교육(16시간)

7.화학사고전문과정


이번 포스트에서는 1번과 2번 교육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1.종사자 교육은 매년 2시간 화학물질 안전원 교육시스템에서 온라인 이수를 하시던가 유해화학물질관리자 집합교육 실시 중 사업장에 맡는 교육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.

인원이 적은 사업장에서는 온라인교육으로 2시간 교육을 받는것이 유리 할 수 도 있겠습니다.

이수시간은 2시간이며 1년엔 한번 환경부 화학물질 안전원 교육시스템에서 보고하시면 되겠습니다.

그렇다면 종사자 교육은 누가 받아야 하는가? 라는 질문에는 사업장내의 취급담당자,위해/장외영향평가서 작성 담당자,기술인력,관리자 등을 제외한 종사자로 상시로 근무하는 근로자 및 파견 근로자이며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지 않더라도 종사자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. 자세한 내용은화학물질안전원 교육시스템 자주묻는질문 교육대상관련 포스트를 확인해 보시면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.


2.취급자 교육과정은 5개의 카테고리로 분리할 수 가 있습니다.

(1)유해화학물질관리자(16시간)

-유해화학물질관리 책임자

-유해화학물질관리 점검원


(2)기술인력(16시간)

-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 사업장의 기술인력


(3)운반자(8시간)

-유해화학물질 운반자는 반드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.


(4)유해화학물질판매업(8시간)

-유해화학물질판매업으로서 취급시설이 없는 경우만 해당이 됩니다.


(5)취급담당자(16시간)

-수급인 및 수급인이 고용한 유해 화학물질 직접 취급자

-유해화학물질 직접 취급자

-위해관리계획서 작성 담당자

-장외영향평가서 작성 담당자

-유해화학물질 영업자가 고용한 자 중


+유해화학물질관리자,기술인력,운반자,유해화학물질판매업은 집합교육으로만 가능하며 미리 교육신청을 하셔서 가까운 장소에서 받으시면 되겠습니다.


+취급담당자 교육은 집합교육 16시간 또는 온라인교육8시간 + 집합교육 8시간이 가능하오니

온라인 교육 8시간을 이수하시고 집합교육 8시간을 이수하셔서 총 16시간을 채우시면 되겠습니다.


모든 내용은 국가법령정보센터와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교육시스템에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. 모든 포스트의 중점은 관련 내용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이정표를 제공하는것 입니다.

교육과정 및 교육대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은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교육시스템에 접속하셔서 교육과정 및 교육대상을 클릭하셔서 내용을 확인하시면 더욱 자세하고 최신의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
모든정보의 출처는 국가법령정보센터 및 화학물질안전원 교육시스템에 있습니다.

최근 게시물

전체 보기

Kommentare


대표이사 상형종    사업자등록번호 137-86-32638

​본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바, 무단 전재,복사,배포 등을 금합니다.

E-mail : hjsang41009@gmail.com  Tel: 031-981-8302   FAX: 031-997-1735

​개인정보책임관리자 : 상민성

주소 :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향동로21번길 31-14.

2018by TAEHEUNG. Proudly created with Wix.com

bottom of page